티스토리 뷰

하얀건반 화성학

3도 음정(interval) (1/2)

데이어리 2023. 1. 14. 23:34
반응형

이번 수업에서는 3화음(Triads)의 특징을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3화음을 구성하는 요소인 3도 음정(interval)에 대해 자세히 탐구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3도 음정(interval)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난 수업을 통해 배운 2도 음정(interval)에 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해당 내용을 복습하실 수 있도록 이전 강의의 링크를 함께 올려 드립니다.

추가로 화음(chord) (Lv2) 강의를 복습하실 수 있도록 링크 함께 올려드립니다.

온음(Whole tone) = 장 2도, 반음(semi-tone) = 단 2도, 음정(interval)의 수치화

 

데이어리의 하얀 건반 실용 화성학 [Chapter2. Grow-up]-2

이전 수업을 통해 음과 음 사이의 거리를 표현하는 용어인 온음(Whole tone)과 반음(semi-tone)은 장 2도, 단 2도와 같은 음의 간격을 표현함을 안내드렸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에 대한 이에 대한 세

deiary-music.tistory.com

화음(chord) (Lv2)

 

데이어리의 하얀 건반 실용 화성학 [Chapter2. Grow-up]-7

이번 수업에서는 화음(chord) (Lv1)에 이어 화음에 대한 내용을 추가로 전해드릴 예정입니다. 화음(chord) (Lv2) 수업 또한 화음(chord) (Lv1) 수업과 마찬가지로 수업의 혼선을 방지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deiary-music.tistory.com

 

3도 음정(interval) 1

3화음의 구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3도 음정(interval)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과정을 통해 ‘도’음을 기준으로 ’미’음과의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1.     의 음과 음 사이의 거리는 3도입니다.

2.     사이에는음이 있습니다.

3.     2도 관계이고 '도'를 기준으로 '레'는 반음 2개 떨어진 위치에 있으므로 장 2도의 관계를 가집니다.

4.     2도 관계이고 '레'를 기준으로 '미'는 반음 2개 떨어진 위치에 있으므로 장 2도의 관계를 가집니다.

5.     사이에는 장 2 2개를 합한 만큼의 거리가 있고 '도'를 기준으로 '미'는 반음 4개 떨어진 위치에 있습니다.

 

반응형

 

위 내용을 통해 확인한 '도'음과 '미'음의 관계의 특징은 '장 3도' 음정의 특징과 일치합니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2 + 2

2.     기준음으로부터 반음 4개 떨어진 위치에 있는 3도

 

추가로 지난 수업을 통해 안내드린 음정의 수치화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장 3도'를 정량화할 수 있습니다.

1.     기준음으로부터 도착음까지 반음 4개 거리를 이동함

2.     반음 1개는 0.5이므로 총합은 2이다.

 

(이후 내용은 다음 수업을 통해 이어가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