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시간에는 앞서 배운 음정에 관한 다양한 내용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구조로 정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음정의 구조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추가로 음정의 구조를 살펴봄을 통해 확인한 내용들을 기반으로 '두 개의 음정(4/4)' 수업을 통해 간단히 안내드렸던 음정이 가진 '반대 성격'에 관한 내용을 함께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음정의 구조'에 관한 강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강의들의 링크를 함께 공유드립니다.
(하단 링크들을 통한 추가 학습 진행시 링크 내 연결되어 있는 강의의 내용들을 함께 공부하시면 이후 내용들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많은 도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두 개의 음정(4/4)
이번 시간에는 지난 세 번의 수업을 통해 안내드린 '두 개의 음정'에 관한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수업을 통해 안내드리는 내용을 잘 익히신다면 음정을 더욱 폭넓게 이
deiary-music.tistory.com
두 개의 음정(1/4)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 안내드린 '12음계의 규격 수치화' 내용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정이 가지는 공간과 이를 제외하고 남은 공간을 합하여 만든 음정에 관한 내용을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12
deiary-music.tistory.com
음정의 구조 분석
위 그림은 단음정, 장음정, 완전음정을 기준으로 기준음을 제외한 나머지 음에 반음 단위 간격을 더하거나 줄임을 통해 음정이 변하는 과정을 도식화 한 것입니다.
기준음을 제외한 나머지 음에 반음 단위 간격을 더한 경우 (샾(#)을 추가한 경우) 음정 관계는 기준 음정으로부터 우측에 기입된 음정 관계로 변합니다. 반대로 반음 단위 간격을 줄인 경우 (플랫(♭)을 추가한 경우) 음정 관계는 기준 음정으로부터 좌측에 기입된 음정 관계로 변합니다.
*1옥타브라는 한정된 공간(반음 12개 간격)에서 기준 음정이 더 넓은 범위의 공간을 사용하게 되면 나머지 공간을 사용하여 만드는 다른 음정은 자연스럽게 더 좁은 공간을 사용하여 만들 수밖에 없습니다. 즉 기준 음정이 차지하는 공간의 범위의 변화는 나머지 음정이 차지하는 공간과 역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두 음정은 음정의 구조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반대 성격'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더불어 음정 또는 화음이 가지는 소리의 느낌과 성향을 통해 특정 음정이 가지는 '반대 성격'을 유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방법은 '소리'라는 추상적인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이해 가능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저희 수업에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다만 음악은 소리를 다루어 만들어지므로 추후 별도의 훈련을 통해 소리를 이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끝으로 위 그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내용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단음정, 장음정은 2도, 3도, 6도, 7도 음정을 기반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완전음정은 1도, 4도, 5도, 8도 음정을 기반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겹감음정, 감음정, 증음정, 겹증음정은 모든 음정(1도~8도)을 기반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단음정, 장음정, 완전음정을 기준으로 반음 간격을 더하거나 줄임을 통해 겹감, 감, 증, 겹증 음정 관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
- 단음정, 장음정을 기준으로 반음 간격을 더하거나 줄여도 완전음정을 만들 수 없습니다.
- 완전음정을 기준으로 반음 간격을 더하거나 줄여도 단음정, 장음정을 만들 수 없습니다.
'하얀건반 화성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개의 음정(4/4) (0) | 2023.06.29 |
---|---|
두 개의 음정(3/4) (0) | 2023.06.29 |
두 개의 음정(2/4) (0) | 2023.06.13 |
두 개의 음정(1/4) (0) | 2023.06.12 |
음정의 전위(2/2) (0) | 2023.06.11 |